안녕하세요. ‘솔루션엑스’ 입니다.
저도 경험하고, 여러분들 에게도 좋은 영향을 드리기 위해
인생 레버리지 전략에 대해 블로깅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성공한 사람들은 기회를 보면 레버리지를 활용하고, 실패한 사람들은 리스크만 본다.”
– 폴 튜더 존스 -
“돈이 돈을 버는 시대”는 이미 끝났는가?
요즘 같은 고금리, 고물가 시대에 사회 초년생이 자산을 모으기란 쉽지 않는 것 같습니다.
그렇다고 마냥 월급만 저축하며 살기엔 ‘속도’가 너무 느립니다.
저의 경험으로 ‘레버리지’ 전략을 잘 세우고 잘 실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.
하지만, 대부분은 레버리지를 “위험하다”, “빚내서 투자하지 마라”는 식으로만 배워왔죠.
정작 제대로 활용하면 평범한 직장인도 수십억의 자산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며 현명한 '레버리지' 전략을 세워 보세요.
1. 현실 레버리지 사례 2가지
1) 부동산 투자
- 초기 자본 : 3억원
- 활용한 레버리지: 전세 끼고 매수 (갭투자)
- 투자한 부동산: 수도권 구축 소형 아파트 (시세 6억, 전세 3억)
- 자기자본 투자: 3억원
- 성과: 3년 뒤 매도 시점에 시세 9억, 차익 약 3억 실현(각종세금 제외)
=> Key Point:
부동산 지식보단 ‘동네 분석력’과 ‘타이밍’이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.
가격이 눌린 지역 + 전세가율 높은 지역 = 레버리지 극대화
2) ETF로 레버리지 투자
- 초기 자본: 1,000만원
- 투자 방식: 미국 나스닥 3배 ETF(TQQQ), 분할 매수 + 시황 분석
- 운용 기간: 2022년 약세장 시작 직후부터 2024년 초까지 (적립식 24개월)
- 성과: 3,200만원 수익화
=> Key Point:
고배율 ETF지만 ‘타이밍 + 분할 매수 + 확신 있는 장기 투자’라는 전략이 필요하고 공부도 꾸준히 해야 합니다.
무작정 들어가는 것이 아닌, 이슈 분석 + 리스크 관리가 핵심.
2. 꼭 알아야 할 레버리지 개념 3가지
1) 레버리지는 ‘빚’이 아니라 ‘가속 장치’다.
레버리지란 결국, 내 돈보다 더 큰 자금을 움직일 수 있는 구조 입니다.
부동산에선 전세보증금, 주식에선 신용/파생, 사업에선 타인자본 등이 해당되고요.
2) '레버리지 = 배수'는 곧 시간을 단축시키는 힘
예: 연봉 4,000만원 으로 1억 모으려면 5년.
하지만, 레버리지로 1억 자산을 만들면 그 자산이 또 수익을 만들 수 있어요.
3)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만, 하방 리스크를 설정해두라.
‘망하지 않을 전략’이 핵심입니다.
자산이 하락할 때도 내가 버틸 수 있는 시나리오를 반드시 세워야 하고, 투기성이 아닌, 우상향 할 수 있는 자산을 찾기 위해
꾸준히 공부 해 보세요.
3. 2025년 경제 이슈에 맞춘 레버리지 전략
1) 지금은 어떤 타이밍인가?
- 금리 고점 구간 (2024년 말~2025년 중반 완만한 인하 예상)
- 미국 대선 이슈로 주식시장은 변동성 ↑
- 한국 부동산은 서울 핵심지 위주로 반등세
- 엔화 약세, 위안화 불안, 원화 강세 조짐
=> 지금은 “선택적 레버리지 구간”
즉, 무리한 확장은 위험하지만 포인트를 아는 사람은 오히려 승부를 볼 시기인것 같습니다. 다시 한번 공부!!
4. 특히 사회 초년생을 위한 ‘실행 가능한’ 자산운용 팁
1) 종잣돈 3천~5천만원 만들기
- 소득의 30~50% 강제 저축
- 1금융권 CMA, 적금, 고정비 줄이기
2) 본업 안정성 확보 후 투자 시작
- 적어도 1년치 생활비 비상금 확보
- 무리한 대출 X → ‘내가 통제 가능한 금액만’
3) 레버리지를 실습하는 첫 투자: 전세 레버리지 부동산
- 수도권 준신축 오피스텔 or 20평 이하 아파트
- 전세가율 70% 이상 → ‘갭 투자’ 최소 진입
- 실제로 현장 가보고, 실거주자 눈으로 분석
4) 주식은 인버스/레버리지 ETF부터
- TQQQ, SOXL, KODEX 레버리지/인버스
- 일정 수익률 도달 시 비중 자동 축소
- 실전 + 공부 병행: 경제신문, 유튜브, 서적 활용
- 비트코인도 분할 매수 하시고요.
핵심은 타이밍보다도 ‘준비’ 입니다.
자본주의 게임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레버리지를 기회로 보는 눈이 필요합니다.
'레버리지 전략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잠실종합운동장 공사 대단 하던데요?!(잠실 스포츠, MICE 복합공간) (11) | 2025.07.08 |
---|